전체 글(91)
-
유입변압기 열화현상
전기기기의 열화진단, 잔여 수명 추정을 시행하는 것은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글에서 변압기의 열화현상에 대해서, 그 메커니즘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얘기를 나누어보고 주로 사용면에서 본 변압기의 잔여 수명 추정에 대해 서술해보자. 유입변압기를 구성하는 주재료에는 도전재료로서의 동, 알루미늄, 철심으로서의 규소강대, 구조재료로서의 강재, 절연재료로서의 절연유, 셀룰로오스를 주재료로 하는 절연지, 프래스보드 등의 절연물이 있다. 이들 중 동, 알루미늄 등의 금속류는 장기간의 사용에도 열화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절연유에 대해서는 공기, 수분 등의 침입이 없으면 절연유가 파괴전압에 큰 저하가 없어 장기사용이 가능한 것이 보통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유침된 절연지, 프레스보드의 내전..
2021.04.23 -
핵심성공요인 CSF(Critical Success Factor) + 피터드러커 선생님.
이전 글에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에 대하여 얘기를 해보았다. 핵심성과지표는 결국 효율적으로 결과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그러나 우리가 KPI는 현대 기업 경영에서 보편적인 경영 수단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 되었다. 하지만 대다수의 조직 및 개인이 KPI를 설정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을 떄가 있고, KPI를 설정한 후에도 성과를 얼마나 측정해야 하는지도 잘 모른채 감에 의존하곤 한다. 이는 KPI에 대한 잘못된 이해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가 명확해야 하는 것을 얘기해보자. KPI는 숫자 채우기가 아니다. KPI는 이미 보편적인 경영 수단으로 자리잡았지만 그 의미가 퇴색된 사례들이 많다. 대표적인 예시가 '숫자'에만 매몰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경영자가 단순히 이..
2021.04.23 -
핵심성과지표 KPI 올바르게 설정하기.
핵심성과지표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약자로 제안서를 만들때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이다. 개인, 단체 및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의미하는데 이 KPI를 설정하면 목표를 수립할 수 있고, 목표한 바가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자가 피드백이 가능하다. 그리고 완성된 과제를 되돌아보고 세부 활동들이 얼마나 유효하게 작용했는지 평가할 수 있다. 이 핵심성과지표는 현대 기업 경영에서 보편적인 경영 수단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 되었다. 하지만, 처음 접하였을때 설정하는것이 쉽지 않으며, 이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올바른 KPI는 무엇일까 1. 전략목표 달성과 관련된 지표이다. : 조직의 전략(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
2021.04.23 -
학위/학년 용어 영어 및 영문
학위 용어 A - Associate 준학사 B - Bachelor 학사 M - Matser 석사 D - Doctor 박사 학위의 종류가 워낙 많으니 필자가 생각하기에 보편적인 학문들로 작성함. 2년제 (전문)대학 AA - Associate Degree of Arts : 준문학사 (문과 계열) AS - Associate Degree of Science : 준이학사 (이과 계열) 4년제 대학 BA - Bachelor of Arts : 인문학사 (문과 계열) + Art는 '인문학부'이며 역사, 철학, 문학 등의 문과 계열 학문인 Art Faculty에 속한다. 미술은 A가 아닌 FA(Fine Art)로 표기된다. BS - Bachelor of Science : 이학사 (이과 계열) BFA - Bachelor ..
2021.04.22 -
First name, Last name (입국신고서, 국외사이트 작성시)
대한민국에서 사람의 이름은 성과 이름으로 구분지으며 성과 이름을 함께 부를 수 있다. ex) 김유신 : 성 - 김, 이름 - 유신 일본처럼 성의 종류가 다양한 나라에서는 성으로 사람을 부르기도 한다. 반면에 미국이나 영국 사람의 이름은 대개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ex) Frank William Abagnale, Jr - 첫 번째 이름(First name)은 세례명(Christian name), 주어진 이름(Given name)이라고도 한다. - 가운데 이름 (Middle name)은 이니셜(Initial)로만 표기할 때도 있다. - 마지막 이름(Last name)은 가족 이름(Family name), 성(Surname)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유신아"라고 부르듯 "Frank" 라고 부르면 된다. ..
2021.04.22 -
설비관리자가 설비를 OFF시키지 않는 이유. (스위칭 과도현상)
일반적으로, 릴레이는 스위치가 닫혀짐으로(close) 작동한다. 이는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여자 시켜 회로를 차단 시키는 것이다. 전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것은 CT(계기용 변류기), PT(계기용 변압기), 또는 바이메탈 등에 의한다. 이 작동은 스위치를 ON/OFF 시키는 것과 유사하다. 퓨즈와 보호릴레이는 양자 모두 안전장치지만, 작동할 때 과도현상이 발생한다. 스위칭 과도현상은 10~100[usec]동안 20kV까지 올라가는것으로 예를 들수 있다. 이것은 아크와 정반전(static discharge)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이다. 산업기계 중에는 흔히 수백 개의 퓨즈와 보호릴레이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하루 중에도 수 차례씩 ON/OFF를 반복하며 복합적 과도현상을 발생 시키며 이들중 어떤..
2021.04.19 -
초퍼 회로, 제어(Chopper 制御)
초퍼 제어(Chopper 制御)란, 전류의 ON-OFF를 반복하는 것을 통해 직류 또는 교류의 전원으로부터 실효가로서 임의의 전압이나 전류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내는 전원 회로의 제어 방식이다. 주로 전동차용 주전동기의 제어나 직류 안정화 전원(AC 어댑터) 등에 이용된다. 초퍼라는 단어 처럼 회로를 잘게 썬다.(전원을 매우 짧은 주기로 ON./OFF 시킴으로써 잘게 썰어 공급하여 임의의 전원과 전류를 공급)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저항을 통한 전원 제어법에 비해 손실과 발열이 적어 무척 효율적이고 전력의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동기 제어나 DC-DC컨버터, AC-DC 어댑터 등 여러 분야에서 대단히 광범위하게 쓰이며 현대 전원장치의 근간을 이루는 기술 중 하나이다. 초퍼제어는 입출력이 DC, AC를 가..
2021.04.19 -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연구 성과는 무슨 학회지에 게재되었는가에 따라 연구성과의 평가가 달라진다. 이럴때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이 임팩트 팩터라는 수치이다. Impact Facotr(IF)는 무엇일까 1955년 유진 가필드(Eugene Garfield)라는 학자가 고안한 저널의 영향력과 수준을 평기하는 지표이다. 저널(Nature, Science) 등과 같은 학술정기간행물의 평가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임팩트 팩터는 과학기술 분야 및 사회과학 분야의 누적된 논문 수와 인용 횟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특정 주제 분야 내에서 저널의 상대적 중요도를 알 수 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저널의 임팩트 팩터(IF) 수치가 높을수록 더 신뢰할 수 있는 저널이라고 볼 수 있다. 임팩트 팩터를 공식적으로 만들어서 발표하는 곳은 Clariva..
202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