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1)
-
116% 폭등한 AMC 주식에 대하여..
게임스톱이 Reddit에 의하여 급등했었다면 이번에는 주토방 '월스트리트베츠포럼'과 '디스코드' 등이 가세하여 AMC가 하루세 95%급등 했다. 심지어 하루 동안 110% 상승세까지 보이기도 했다. 헤지펀드와 공매도 세력에 대한 원한으로 하나가 된 개미투자자들의 영향은 얼마나 거대해질지 흥미롭다. 어쩌면 이런 세력에 의한 급등은 앞으로 꾸준히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년만에 돌아왔던 암호화폐 시장처럼 이러한 커뮤니티를 통한 급등은 주기적으로 돌아올 것이다. 그렇다면 AMC는 무엇을 하는 주식일지 알아보자. AMC는 미국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 체인이며, 1920년 세워진 역사있는 기업이다.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창립되었고, 1929년 세계 대공항시 문을 닫기 직전까지 갔으나 버텨내어, 1948년 파라..
2021.06.03 -
수퍼커패시터와 용량에 대하여
수퍼 커패시터란 리튬배터리와 같은 충전 배터리와 일반 범용 커패시터의 장점을 두루 갖춘 에너지 저장수단이다. 장점 1. 큰 에너지를 저장. 2. 순간 방전능력 Electronics DIY를 경험한 공학도라면 여러 형태의 캐패시터를 다루어보았을 것이다. 전원장치에 사용하는 수천 [uF] '전해 캐패시터(Electrolytic Capacitor)'부터 소 전력 회로장치에 들어가는 수[pF]의 '세라믹 커패시터(Ceramic Capacitor)'까지, 커패시터의 종류와 모양의 범위도 넓다. 그러나 '슈퍼 커패시터' 라는 명칭에 맞게 매우 거대한 용량을 기대할 수 있다. 예시로 비교하면 '공칭용량(Nominal Capacity)'이 500[F]인 커패시터와 전원장치에 들어가는 상당히 큰 용량의 '전해커패시터'가..
2021.06.02 -
전해/세라믹 Capacitor(캐패시터) 선정법
캐패시터는 중요한 수동 소자이다. 이 중 세라믹/전해 캐패시터가 많이 사용되는데 올바른 캐패시터 선정법에 대해 알아보자. 1. 커패시턴스 선정 - 저항 선정과 같이 설계에 필요한 캐패시턴스을 선정한다. 이후에 크기와 내압, 온도 등을 갖는 커패시터를 선정할 수 있다. 보통 커패시터의 오차율이 5%~20% 를 넘지 않도록 한다. 아래 첨부한 표는 사용되는 커패시터값이다. 만약 커패시턴스에 따라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회로를 설계하고 할때, 한 종류의 커패시터를 단일로 설계하는 것이 아닌 병렬로 설계하여 추가되는 캐패시터에 따라서 정밀하게 값을 교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회로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2-1. 세라믹 캐패시터의 내압/ 크기 선정 - 1번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캐패시턴스를 갖는 캐패시터를 표에서 ..
2021.06.02 -
합판, 원목, MDF 두께 및 표기법 (T단위)
나무판을 구매하기 위해 표기법 및 규격에 대해 알아보자. 나무판을 구매할때 1,220*2,440*3T 라는 규격을 보면 항상 T가 있을 것이다. 이 T는 Thickness(두께)의 약자이다. 1T = 0.1cm = 1mm로 1,220*2,440*3T를 ->122cm*244cm*0.3cm로 해석하면 된다. MDF - 6T (6mm) / 12T (12mm) / 18T (18mm) 원목 - 12T (12mm) / 18T (18mm) / 24T (24mm) 합판 - 4.8T (4.8mm) / 12T (12mm) / 18T (18mm) 이 규격도 위에서 설명하듯 0.3cm*122cm*244cm 로 해석하면 된다.
2021.06.02 -
RF(Radio Frequency)와 Microwave의 차이
RF(Radio Frequency)라 함은 방사주파수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보통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장비단을 통칭한다. RF는 microwave(초고주파)라는 용어와 다소 혼란의 여지가 있는데, 사전적인 정의로는 RF는 1Ghz이하, Microwave는 300Mhz~30Ghz의 전자파를 일컫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RF라는 용어와 Microwave라는 용어는 구분없이 혼용하여 쓰는 경우가 더 많지만, Radio Frequency가 Microwave의 상위 개념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다. Microwave는 주로 고주파대역 주파수를 의미하고, RF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무선장비/공학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한다. RF라 함은 일반적으로 대략 100~300Mhz 이상의 고주파 무선통신 및 고주파를 이용하는 장비설계..
2021.06.02 -
ESG경영이란 무엇일까
전 세계적으로 ESG가 기업 경여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잡아 대한민국 산업 전반에 ESG 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런이유와 ESG에 대하여 알아보자. ESG란 - 환경 Environment - 사회 Social - 지배구조 Governance 의 약자로, 기업이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요시하며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 개선을 실천해야 지속 성장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선언하면서 ESG 경영이 더욱 더 중요시되는 분위기인데, 국민들의 생각은 어떨까.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민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질문에 전체의 63%는 ‘영향이..
2021.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