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지스터(transistor) - 1 NPN, PNP형 트랜지스터

2021. 4. 4. 01:02전기전자

728x90

트랜지스터란 트랜스터 레지스터(Transfer resistor)의 합성어로 전환 저항기라는 의미가 된다. 트랜지스터는 단극성 트랜지스터, 쌍극성 트랜지스터로 분류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트랜지스터는 쌍극성 트랜지스터로서 PNP형과 NPN형으로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주로 실리콘을 주 재료로 하지만 용도에 따라서 게르마늄이나 비화칼륨도 사용이 된다.

트랜지스터의 기호 및 구조 

위 그림과 같이 2개의 N형 층과 1개의 P형 층, 또는 2개의 P형 층과 1개의 N형 층으로 이루어진 3층 반도체 소자를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위 그림을 자세히 보면 트랜지스터 내부에 화살표 표시가 되어 있는 선이 있는데 이게 바로 emitter라고 불리우는 단자이고 B라고 써있는 선이 base로 불리며 나머지 C는 Collector라고 한다. 

 

E : Emitter - 무엇을 내보낸다는 뜻으로 NPN에서는 전자를 내보내고, PNP에서는 정공을 내보냅니다.
C : Collector - 무엇을 모은다는 뜻으로 Emitter에서 나온 전자 또는 정공을 모읍니다.
B : Base - 기초

 

트랜지스터의 표시는 그림 기호를 사용하고 이미터에는 화살표를 붙여서 컬렉터와 구별한다. 이미터의 화살표는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이것에 의해 PNP형과 NPN형을 구분할 수 있다.

 

 

 

 

출처 

bennyziiolab.tistory.com/19?category=327916

728x90